서울대 분자의학및바이오제약학과 강창율 교수 연구팀 "뼈단백질 억제하면 암 면역치료 효과 증진" | ||
11-18-14 Hit 5,536 |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뼈 생성 관련 단백질을 차단하면 암 치료 효과가 증진된다는 사실을 발견해 기존 항암치료요법의 치료 효율 증진이 기대된다.
1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서울대학교 분자의학및바이오제약학과 강창율 교수(교신저자)와 김은경 박사(제1저자)는 암세포가 분비하는 뼈 생성 관련 단백질인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OPN)이 암세포 제거를 방해하는 세포인 미분화 골수성 세포의 생성과 증식을 유도하는 기전을 확인했다.
오스테오폰틴은 골격을 구성하는 주요 인단백질로, 뼈의 재형성에 관여한다. 그러나 때에 따라 감염과 부상에 대한 방어 메커니즘으로 작용해 암세포에서 분비된다.
연구진은 이 오세트오폰틴이 암세포의 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항암 면역반응을 무력화시키는 핵심 세포인 미분화골수성 세포의 축적을 촉진해 체내 암 성장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항 오스테오폰틴 항체를 사용하거나 면역세포기반 치료백신과 항체를 병행 사용해 오스테오폰틴을 저해하면 항암면역반응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결론이다.
실제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항 오스테오폰틴 항체를 병용한 결과 치료백신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 것이 확인됐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지난 15일자로 미국 암 학회가 발간하는 대표 저널인 '암 연구'(Cancer Research)에 정식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진은 이 연구결과에 대한 특허출원도 완료했다.
최근 의료계에선 암 환자의 면역 반응을 이용해 스스로 암세포에 대응하도록 하는 암 면역치료가 새로운 치료법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암세포 주변에는 이러한 치료를 방해하는 환경이 형성돼 있어 암 면역 치료의 효과가 제한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면역세포의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미래부측은 설명했다.
강 교수는 "향후 암 치료제에 오스테오폰틴을 타깃으로 하는 항체나 저해제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항암치료요법의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2014.11.17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1/17/0200000000AKR20141117069300017.HTML?input=1179m